논문 심사 규정
본 논문지는 크게 독창성, 기여도, 중요성, 연구방법, 조직성, 표현력, 및 타당성의 7개 심사기준을 가진다. 각 심사위원은 상기 7개 기준의 관점에서 논문의 질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종합하여 전체적 심사소견을 개진한다. 심사소견에서는 논문의 강점과 약점, 수정의 필요성 및 수정 방향 등에 대한 상세한 언급과 지적이 이루어진다. 심사위원은 심사소견과 함께 논문게재 결정과 관련하여 게재, 수정 후 게재, 수정 후 재심사, 게재 불가 송부 중 하나를 선택하여 편집위원에게 추천한다. Journal of KBIGDATA 의 개별 심사기준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.
 
독창성: 논문이 다루는 연구 명제, 연구의 방법, 관찰의 대상, 혹은 전체적 서술의 형태가 독창적이며 기존연구와 차별되는가?
 
기여도: 논문이 학문의 발전과 진보에 기여하는가? 새로운 현상의 발견, 현상의 새로운 이해, 이를 위한 새로운 이론체계의 구축에 기여하는가?
 
중요성: 논문이 다루는 주제가 중요한 주제인가?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시사점이 큰가?
 
조직성: 논문의 조직과 구성이 타당한가? 학술논문으로서 갖추어야 할 내용과 형태를 갖추고 있는가?
 
표현력: 논문의 표현의 방식이 적절한가? 논문의 서술이 전체적으로 독자의 이해를 돕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는가?
 
논문은 상기 각 기준에 있어 ‘매우 나쁨’, ‘나쁨’, ‘보통’, ‘좋음’, ‘매우 좋음’의 5점 척도로 평가된다. 종합적 평가의 범주로는 ‘게재’, ‘수정 후 게재’, ‘수정 후 재심사’, ‘게재불가’가 있다. ‘수정 후 게재’는 심사위원이 지적한 수정조치의 이행여부를 심사위원에 의한 재심사 없이 수정여부를 확인하여 게재하는 경우이며 ‘수정 후 재심사’는 수정 후 심사위원에 의한 재심사의 과정을 거치는 경우이다.
 
본 학회지는 연 2회 발간을 원칙으로 한다. 발간은 매년 6월 30일, 12월 30일을 기준으로 한다. 필요시 
필요시 특별 호(special isssue)를 발간할 수 있다.
×